지누.log
article thumbnail
✏️ 본 포스팅은 코드잇 대학생 코딩캠프 1기 활동 기록 입니다. 

프로그래밍 언어 이해하기

  저수준(컴퓨터적 사고에 가까운), 고수준(사람이 이해하기 쉬운) 언어

  ✽ Python 스타일가이드 check!

  구도화가 잘 된 코드

      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

      Design Pattern: 프로그래밍에서 고질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

 

📌라이브러리

  자주 쓰일법한 코드를 필요할 때 쓸 수 있게 만들어 둔 것

  데이터 분석에서 유용하게 쓰임 ex. pandas, seaborn ...

  언어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기도 함

 

📌프레임워크

   적은양의 코드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음 (라이브러리와 유사한듯하지만 다름)

   프로그램의 정해진 빈 곳에 자신의 코드를 적는 것. (반쯤 완성된 프로그램)

   큰 틀이 정해져 있고 세부 내용만 바뀌는 프로그램의 경우 사용하기 좋음

   보안이나 암호화는 알아서 해줌

   이미 짜여진 틀이기 때문에 구조를 바꾸기 어려움

 

📌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

  ✽ 라이브러리: 이미 누가 만들어 둔 코드를 가져와 사용 (버튼만 누르면 커피가 나오는 커피머신)

   프레임워크: 최소한의 노력만으로 프로그램 완성 (디자인이나 메뉴를 고민할 필요 없는 프렌차이즈 카페)

 

 

좋은 코드를 찾는 법: 구글링 시 "Best Practice" 키워드로 검색

profile

지누.log

@지누:

이 포스팅으로 한 분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.